네트워크의 규칙
프로토콜이란?
- 통신을 하기 위한 규칙(네트워크의 규칙)
- 규칙들은 상호 간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.(독립적)
OSI 모델
OSI 모델이란?
- 과거에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나 컴퓨터가 회사끼리 다르면 통신을 할 수 없었음
→ 다른 회사끼리 통신하고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정함 - ISO : 표준 규격을 정하는 국제표준화기구 단체 →
OSI모델
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
- 7개의 계층(레이어)으로 나눔
- 통신할 때 데이터는 맨 위의 계층에서 아래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
각 계층 설명
7 계층 - 응용 계층
- 애플리케이션 계층
- 이메일, 파일 전송, 웹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제공
6 계층 - 표현 계층
- 프레젠테이션 계층
- 문자 코드, 압축,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
5 계층 - 세션 계층
-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
-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
4 계층 - 전송 계층
- 트랜스포트(transport) 계층
-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
3 계층 - 네트워크 계층
-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 결정
-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 결정
2 계층 - 데이터 링크 계층
-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
-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
1 계층 - 물리 계층
-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
OSI 모델 데이터 송/수신 측면
- 송신 측의 7 계층과 수신 측의 7 계층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
- 송신 측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
- 각 계층은 독립적이므로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다른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.
- 각 계층은 독립적이므로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다른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.
- 수신 측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각 계층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받음
TCP/IP 모델
TCP/IP 모델이란?
- 4 계층의 모델 ← OSI 모델의 7 계층을 4 계층으로 바꿔서 생각하면 더 이해하기 쉬움
- 표현 계층과 세션 계층을 응용 계층에 포함
캡슐화와 역캡슐화
캡슐화와 역캡슐화란?
- 데이터를 전송할 때, 데이터 앞부분에 헤더를 붙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는 것
헤더
: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,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
- 캡슐화 : 데이터를 송신하는 쪽에서 헤더를 붙여 나가는 과정
- 역캡슐화 : 데이터를 수신하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씩 제거하는 과정
캡슐화와 역캡슐화의 전체 흐름
- 송신 측 컴퓨터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, 접속을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짐
- 해당 데이터는 전송 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뤄지도록,
응용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전송 헤더를 붙임 - 전송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헤더를 붙임
- 네트워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물리적인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,
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임트레일러
: 데이터를 전달할 때 데이터 마지막에 추가하는 정보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전기 신호로 변환돼서 수신 측으로 도착
- 역순으로 모든 헤더가 제거된 후 데이터가 수신 측으로 전달